산업동물

홈 > 산업동물 > 물고기 > 송어
제목 송어의 질병-전염성 조혈기회사증(IHN)
이름 bayer 작성일   2002.07.09

송어의 질병-전염성 조혈기회사증(IHN)

 

이 병은 비교적 새로운 병이지만 철저한 방역 대책으로 발병을 저지할 수 있다. 하지만 어중간한 소독으로선 IHN바이러스의 강력한 감염력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① 원 인

전염성 조혈기회사증이라 어류의 조혈기인 지라, 콩팥이 주로 바이러스에 침범된다. 발병은 부화 후 얼마 되지 않은 고기로부터 시작하여 먹이 길들이기를 하고서 2개월경 까지가 가장 많고, 이 때의 고기의 크기는 한 마리의 체중이 0.1~0.6g 정도이다. 2g이상으로 성장한 고기 라면 약간 저항성이 생긴다.

더욱 커진 고기에선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거의 발병은 않는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없어진 것은 아니고 고기의 체내 어딘가에 숨어 있다가 시기가 되면 불쑥 나타난다. 이렇듯 바 이러스를 가진 고기를 보균어라 하지만 바이러스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병의 오염원이 된다. 특히, 산란기의 성숙한 암컷은 다량으로 바이러스를 내보내고 있다. 보균어 가 낳은 알에는 바이러스가 묻어 있어, 그대로 부화되면 발병하지만 알을 옥도제로 소독 하면 발병을 방지할 수 있어 이 병을 막는 결정적인 방법으로 쓰인다. 이것은 송어류 치어의 바이러스병이고, 비슷한 병이라 여겨지는 IPN 이 알을 소독해도 효과가 없는 것과는 큰 차이점이다. 그리고 IPN과의 차이는, IHN 바이러스가 햇빛이나 열에 약하다는 점이고, IPN과 IHN은 바이러스 성질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에 알맞은 방법으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발병 수온은 4~13℃이고 8~10℃에서 가장 많다. 또한, 18℃ 이상의 높은 수온에선 발병이 억제된다. 감염은 물을 매개로 생기는 까닭에 같은 물 계통에서의 발병이 많다. 

 

② 증 상

급격하게 죽는다. 감염된 뒤 7~14일로 발병하고, 한 달쯤인 사이에 60~100%가 죽는다. 병어는 발병 초기 몸빛이 검고 식욕이 없어지고 못바닥에 꼼짝 않고 있지만 때때로 몸을 옆으로 쓰러뜨리고서 헤엄치다가 그 뒤에 죽는다.

IHN의 특정적인 증상으로는 몸 근육에 출혈 무늬가 있다는 것인데 병어가 소형이면 출혈 무늬는 V 모양이나 선 모양을 나타내고, 대형 고기에선 작은 점 모양의 출혈을 한다. 그러나 IHN이 된다고 반드시 출혈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전형적인 발병의 경우에 출혈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전혀 출혈 증상이 없는 것도 있다. 이 밖에 배가 부르든가 눈알이 튀어나오는 것도 있다. 지느러미는 심한 빈혈로 백색이 되며 해부하면 배에 투명한 액체가 괴어 있고 소화기엔 점액이 들어 있고 콩팥에는 출혈 무늬가 있기도 하다. IHN은 특징적인 근육의 출혈 무늬가 있으면, 증상만으로 진단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은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한다. 

 

 ③ 대 책

IPN과 마찬가지로 치료약은 현재로선 없다. 그러나 알의 소독을 비롯하여 아래와 같은 것을 하면 IHN의 발병을 막을 수는 있다.

a. 알의 소독

PVP옥도제(이소진액)의 200배액에 15분간 담근다. 알(발안란)은 소독 전에 더러움이 없도록 물로 잘 씻어 둔다. 더러움이 있다면 옥도제의 효과가 떨어진다. 알은 부화조에 넣기 전에 반드시 이 소독을 하여 IHN바이러스가 전혀 없는 상태가 되게 한다.

b. 바이러스 오염이 없는 물에서의 사육

약간의 바이러스가 있어도 발병된다. 치어에의 감염력이 다른 바이러스나 세균에 비해 두드러질 만큼 강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조금이라도 있는 물에선 송어 치어의 사육은 하지 않는다. 지하수를 직접 이용하든가 용수원에서 파이프로 물을 끌어 외부에서의 침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없다고 생각해도 좋다. 바이러스 오염의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류에서 고기가 사육되고 있는 일이 가장 위험하며, 사육지가 없더라도 수로에 고기가 있고 그것도 그 수계에서 IHN이 발생한 일이 있었다면, 그 고기들은 틀림없이 IHN바이러스의 보균어가 되어있다.

c. 치어 사육 담당자의 전입과 격리 사육

큰고기, 특히 친어에는 보균어가 많다. 그런 고기와 치어를 같은 양어장에서 같은 사람이 관리하는 일은 전염병의 병실과 산원을 겸임해서 담당하고 있는 것과 같다. 먹이를 줄 때마다 손발 따위의 소독을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을 매일 실시하기란 큰 일이고 한번 실수로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어버리므로, 한번의 실수도 허락되지 않는다. 위험과 이웃하며 작업을 하는 게 아니고, 위험이 끼어들 여지가 없는사육 조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자료 : 미꾸라지. 송어(내외출판사)>



이전글 ▶ 송어의 질병-전염성 췌장회사증(IPN)
다음글 ▶ 송어의 질병-비브리오병